대형 마트 입점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소도시에 위치한 규모가 작은 시장을 특성화 시장으로 조성하자는 의견이 일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이러한 시장들은 전통시장이나 인정시장, 문화관광형시장 등으로 등록 받지 못해 시장 살리기 노력에도 불구하고 설자리를 점점 잃어가고 있어 행정관청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전통시장이나 인정시장, 문화관광형시장은 국가나 지자체의 지원을 받고 있는 반면, 소규모 재래시장은 예산 지원이 거의 없어 이에 대한 도움과 ‘특성화 시장’ 개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위에서 열거한 시장들은 전통시장 이용객이 필요한 대형 주차장 설치를 비롯해 시장 홍보, 경매시장 개장, 문화관광형 시장 등 공식적인 시장으로 인정받아 상당한 예산지원을 받고 있다.
특히, 문산읍에 소재한 선유시장(선유4리)은 1000여명에 가까운 게리오원, 자이언트 미군부대가 주둔하기까지는 성업을 이뤘으나 2004년 철수 이후 대형마트 입점과 함께 역사속으로 사라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선유리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민간 아파트 건설, 첨단산업단지 조성 등 2000세대 1만명이 넘는 대도시로 변했지만 아파트 단지와 기존의 구도심과는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을 만큼 변화했다.
실제로 선유시장은 15년전 파주시에서 1억5000여만 원의 예산을 들여 케노피(비가림 공사) 설치 공사비를 지원하는 등 미군과 이에 따른 종사자를 비롯 많은 주민들이 이용해 한때는 성황을 이루는 시장으로 자리매김 했었다.
당시 선유시장 추진위원장을 역임했던 모택선 전 회장(동아부동산 대표)은 “선유리 상권자체가 죽은지 오래다. 서민들의 소득수준이 높지 않은 점을 인식해 이들이 입점해 영업할 수 있는 업종 개발과 지자체의 도움이 더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음식타운’ 조성을 조심스럽게 밝혔다.
그는 또 “선유시장은 현재 보증금 2~300만 원, 월세 2~30만 원 수준에 불과해 저렴한 비용으로 영업할 수 있어 서민들에게는 창업비용 면에서 부담없이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선유시장은 과거 50여개 점포가 성업중에 있었으나 현재는 5개 상가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전통시장 기능과는 거리가 먼 지역아동센터, 전자제품 수리업체, 잡화점 등만이 입점해 있다.
하지만 ‘음식타운’ 조성도 만만치는 않다. 시 관계자에 의하면, 음식업 허가를 받으려면 까다로운 조건과 특히, 선유시장은 하수처리 시설이 필요하지만 시장 한 가운데로 통과하는 우수관만 있어 단독 정화조 설치나 공공하수처리 시설은 절대적이다.
이처럼 음식업은 환경문제와 직결된 사안이라 공공하수처리 시설이 없는 지역은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도 하지만 허가조차 받기 어렵다.
그러나 이에 앞서 서민경제를 살려보자고 하는 상인들의 노력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추진위원회나 상인협의체 구성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아이디어나 노력이 먼저 선행돼야 할 것이다.
파주시에서도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도비 확보에 많은 노력을 해 성과를 보여다. 현장에 답이 있다”라고 지자체를 비롯 도·시의원들은 말하고 있지만 소규모 시장 상인들은 작은 곳에도 좀 더 귀기울여 달라고 주문하고 있다.
김영중 기자 stjun010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