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한전도 참석… 파주에서 ‘송전망 혁신’ 본격 논의
- 기후환경에너지부 예산심의에서 내년부터 본격 추진의사 밝혀
- 박정 의원, “대한민국 난제를 풀다. 평화기후에너지 고속도로” 태양광 패널에 시찰 의미 담아
[파주시대 김영중기자]=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는 19일 파주시 일대를 방문해 ‘경기북부 에너지 고속도로’ 후보지와 판문점과 임진각, 도라전망대 등 한반도 평화의 상징적 공간을 찾은 뒤 캠프 그리브스 등지를 둘러보며 기후·평화·에너지 정책이 만나는 접점을 논의할 계획이다.
현장 방문에는 기후노동위원회 안호영 위원장과 간사인 김주영 의원(더불어민주당), 김형동 의원(국민의힘)을 비롯해 강득구·김태선·박정·박지혜·박해철·박홍배·이용우·이종배·김소희·김위상·윤상현·허종식·정혜경·서왕진 의원이 함께했다. 또한,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 실장, 한국전력 부사장과 파주시장 등 정부 관계자도 동행해 현장에 참석했다.
이번 방문은 올해 국정감사에서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해 온 박정 의원(파주을)의 제안으로 이루어졌으며, 접경지역 재생에너지 확대와 송전망 혁신을 검토하는 실질적 자리가 될 전망이다.
박 의원이 구상하는 에너지고속도로는 정부 기조에 발맞춰 파주(한반도 중앙)에서 동서남북으로 전기를 보낸다는 취지로 현장 방문을 계기로 첫발을 내딛게 됐다.
박정 의원은 국감에서 경기북부 접경지역이 민통선 북상 가능 구역을 포함하면 최대 1,800㎢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미개발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이 지역을 활용하면 대한민국 재생에너지·송전망 혁신의 중심지가 될 수 있다고 지속해서 강조했다.
특히 기존 남쪽 중심의 전력망 구조로는 AI시대 전력 수요와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정부와 한전에 강하게 주장한 바 있다.
정부는 박정 의원의 제안에 적극 공감해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 사업을 국가적 의제로 끌어올리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고, 기후부 역시 이번 예산심의 과정에서 내년부터 해당 사업을 예산에 반영해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기후부는 이번 파주시 현장 방문에도 직접 참석해 접경지역의 에너지 인프라 구축 가능성과 재생에너지 적용 조건을 검토할 계획이다.
박정 의원은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는 이재명 정부의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와 함께 우리나라 재생에너지의 두 개의 큰 축을 만드는 일이며, 오랜 기간 국가 안보를 위해 희생해 온 접경지역 주민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 될 것이다”라고 전제한 뒤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는 기후위기 극복과 한반도 평화 정착이라는 두 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에서 평화·기후 에너지고속도로라고 이름을 붙였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박정 의원은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가 구축되면 AI시대 수도권 전력망 공급뿐만 아니라 남북관계 진전돼 개성공단이 재개될 경우 개성공단 전력공급원 역할도 할 수 있다고 부연설명 했다.
이번 현장 방문을 계기로 국회 해당 상임위와 정부가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 사업 현실화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전망이다.
한편 박정 의원은 현장 방문 시찰에서 태양광 패널에 “대한민국 난제를 풀다. 평화기후에너지 고속도로” 라는 자필로 시찰의 의미를 담았다.
박정 의원은 “접경지역의 오랜 규제와 한계를 미래 에너지와 기후산업의 기회로 바꾸는 길, 그 시작을 열어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pajusida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