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說>-침묵하는 시민단체
수정 : 2018-10-10 20:31:08
시민단체는 사회의 공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뜻있는 시민과 전문가들이 모여 만들어진 단체로 정권쟁취 등 집단의 이익을 위해 모인 정당과는 다르게 구분되어진다.
그 공익적 목적은 시민 사회의 활력 증진하고, 민주주의의 건강한 토대를 구축하며 잘못된 정부의 정책 비판을 통한 여론 형성과 대안 제시 활동을 통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 일상생활에서의 변화와 개선을 추구하는 등 시민들이 살기 좋은 사회를 건설하는데 그 존재가치를 둔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 시민단체로는 경실련,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등이 존재하는데 경실련과 참여연대는 정치와 사회의 건강성을 추구하고 있다.
새롭게 구성된 파주시 지방정부와 의회가 출범한지 3개월이 지나고 있다. 사실 민선7기 지방정부와 시의회는 자신들의 정치적 능력보다는 촛불이란 바람이 주도해 선거에서 승리, 취임하게 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시민들의 지지도 높았고 새로운 인물들의 등장에 파주시민들의 기대도 한껏 컸던 것도 사실이다.
시민단체는 과거 태동하자 마자 자질이 부족한 국회의원 낙선운동, 시의회 견제를 위한 의정감시단 운영을 비롯 화상경마장 조성 반대 집회, 사업성이 불투명하다고 하는 장단콩웰빙마루사업 관련 등으로 파주시와 의회에 날을 세웠던 단체이다.
그런데 취임 3개월의 지나는 이 시점에 저들은 시민들의 기대에 보답하기는 커녕 지위가 높은 분들이나 힘에 의한 외부인사 임명 등 정실인사 의혹과 일부 시의원들의 ‘갑질’ 논란이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고 있는데, 이를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해야 할 시민단체는 언론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성명이나 기자회견 한 번 없어 파주의 시민단체는 겨울이 오기도 전에 이미 기나긴 동면에 들어간 것이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이 앞선다.
체육회 사무국장 임명,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선임, 일부 의원들의 특혜 및 협박성 ‘갑질’ 논란 등을 다뤄야 할 사건이 많은데 자당 출신의 인물과 우호당 인물이라 거르지 못하는 시의회를 대신해 비판해야 할 시민단체가 시민단체 소속의 인물이 민주당 비례대표로 입성해 제 역할을 다했다고 침묵한다는 시민들의 비아냥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
제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시민단체는 살아도 살아있는 것이 아니다. 계속 침묵하고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