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황해북도 평산의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배출된 방사성 오염 폐수가 예성강(례성강)을 따라 서해로 유입되고 있다는 정황이 최근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잇따라 확인되고 있다.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원격탐사 전문가 정성학 박사와 미국 위성 전문가 제이콥 보글은 미국 ESRI의 ‘월드뷰-3’ 위성자료와 구글어스 지형도 등을 분석해,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의 침전지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배수로와 침출수 유출 경로를 명확히 포착했다.
침전지는 방사성 고형 폐기물을 저장하는 인공 구조물로, 포화 상태가 되면 침출수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2023년 1월과 10월 촬영된 위성사진에서는 배수로 공사와 침출수의 외부 방류 정황이 선명히 확인되었으며, 이 오염수가 약 2km 하류에서 예성강과 합류한 뒤 강화만과 경기만을 거쳐 서해로 유입되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은, 방사성 폐수가 강화 전망대 앞바다를 지나 서해로 흘러들었고, 그 과정에서 인접한 임진강과 한강 수계의 어류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이에 국민의힘 파주시(을) 당원협의회는 다음과 같은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
예성강을 따라 유입된 방사능 폐수가 강화만과 서해로 확산되었다면, 지리적으로 인접한 임진강 하구 및 한강 수역에도 오염이 확산될 수 있다. 이는 곧 파주시의 어족자원, 특히 임진강 생태계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으며, 국민 건강과 식탁 안전에도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이다.
파주는 임진강을 품은 도시로, 수질과 어류 생태계의 안정성은 시민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정부와 파주시는 위성분석 자료를 토대로 우라늄 등 방사성 물질을 감시 항목에 포함하고, 임진강과 한강 수계에 대한 긴급 정밀 수질 조사 및 대응책 마련에 즉각 착수해야 한다.
북한의 방사능 폐수 유출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이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국경을 초월한 생태계 재앙이자 국민 생존권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야 할 것이다.
국민의힘 파주시을 당원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