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정“파주 도심공동묘지의 재구상이 필요하다”

삭막함에서 수려함으로... ‘북유럽형 파주’를 만들자

입력 : 2016-02-23 21:34:19
수정 : 2016-02-23 21:34:19




파주의 발전과 미래를 위해선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창의적 행정과, 파주 전역에 걸친 도시 재구상이 필요함을 주창하고 나선 박정 예비후보.<사진>

그의 통일경제파주특별시 구상의 축이라고 밝히기도 한 ‘파주 북유럽화’ 구상 가운데 하나로, 파주에 거대하게 자리 잡고 있는 공동묘지 문제에 대한 생각을 들어봤다. 파주 공동묘지 경관을 전면적으로 변화시키자는 박 예비후보의 제안은 자못 솔깃하다.

공동묘지도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파주를 북유럽처럼 수려한 최고의 경관도시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남쪽은 운정·교하 신도시로 신축된 아파트 중심의 거주권, 동쪽은 금촌 등을 기점으로 다소 낡고 산만한 구도심 지역, 북쪽은 문산권 도심과 함께 파평산, 감악산 등 자연녹지와 농경지가 중심이다.

서쪽은 파주출판단지-통일동산-헤이리 예술마을을 잇는 관광문화권이 형성돼 가고 있다. 그러면서도 어느 곳이라 특정하기 어렵게 곳곳에 각종의 공장들이 들어서 있고, 특히 ‘군부대’ 시설과 ‘공동묘지’가 매우 비중 있게 입지하고 있다.

파주시가 집계하고 있는 관내 공동공설묘지(파주시 소유)는 88만8천 제곱미터(26만9천평)다. 종교단체·법인·종중·가족묘 등 사설묘지는 323만7천 제곱미터(98만1천평)에 이른다. 또 서울시립승화원 묘지는 390만7천 제곱미터(118만4천평)에 달해 ‘묘지의 도시’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공설묘지, 법인 소유 묘역, 종교단체 묘역, 공동묘지, 서울시가 조성한 것 등 관리주체도 정말 다양하고 동서남북 없는 곳이 없다.

특히, 대단위 도심지 안에 위치한 금촌3동 팜스프링 아파트 뒤편에 규모가 큰 공동묘지가 있다. 산자와 망자의 안식처가 지척에서 함께 공존하는 셈이다. 그러나 묘역은 주민이 떠올리기도 싫어하고 가까이 걷지도 않는 잊혀진 공간이 되고 있다.  

박 후보는 파주에 이토록 많은 공동묘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할 것이냐 말 것이냐는 우리가 결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묘지를 망자와 산자가 꺼리기지 않는 새로운 인식이 가능한 공간. 그런 곳으로 재창조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뒷받침할 입법적 근거와 재정적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파주엔 공동묘지가 과하게 많지만, 역설적이게도 그것을 편백나무 숲이나 금강송 등 선호종이 울창한 숲 지대로 재구성한다면 파주를 그 어느 곳보다 사계절이 눈부시게 아름다운 북유럽형 경관으로 채색할 수 있는 대반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예견하고 있다.

온 국민이 축제처럼 묘지 찾는 프랑스 투생. 예술미까지 곁들인 스웨덴 스톡홀름 주에 있는 스코그쉬르코고르덴 묘지공원을 들어 볼 수 있다. 이 묘역은 주변 식생과 건축미학적 요소를 잘 조합한 북유럽 숲을 훼손하지 않고 기존 자연풍경에 순응하면서도 품위와 매력적인 예술적 가치를 구현한 유의미한 묘지공원 모델로 꼽히고 있다.

특히 지지난해 파주시와 서울시가 용미리 묘역에 대한 개선 합의를 추진했던 것도 미흡하지만 고민의 흔적으로 볼 수 있어 긍정적인 평가다.

박 후보는 공동묘지 경관을 재구성하는 것은 다수적 합의를 바탕으로 일정한 보상이나 이장 지원사업이 뒤따라야 하며 고급 수목종에 대한 의견도 모아져야 하고 대규모 식목 사업이나 공원조성, 묘역 내 공공복지시설 계획 등 종합적인 계획도 제시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가장 중요한 것은 방대한 규모의 재정 조달인데 이 문제는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하며 파주와 더불어 전국에 걸친 공동묘지 경관 개선 사업으로 현행 「장사 등에 관한 법률」만으로는 부족하다. 

궁극적으로 「공동묘지 등의 경관개선에 관한 특별조치법」 등 법률 제정(일명 ‘힐링묘지법’ 또는 ‘아름다운 묘지법’)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면서 이 문제를 광범위하게 공론화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영중 기자 stjun010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