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덕순 칼럼위원(前 임진초등학교 교장)
얼마 전 손녀딸들과 북부지역 첫 국립박물관으로 2021년 7월 개관한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수장고’에 다녀왔다. 15개 수장고에 약 100만 점 이상의 민속자료와 아카이브 자료를 보관한 개방형 수장고이다.
목숨이 걸린 전쟁과 전 국토가 초토화되는 6.25 전란 중에도 민속자료를 지켜낸 분들의 노고에 가슴이 벅차올랐다. 자료 하나하나에는 이 땅에서 삶을 이어온 조상들의 의식주, 사회생활, 풍속이나 의복, 가옥 등 진솔한 삶의 지혜가 담겨있다.
삶의 숨결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민속자료를 대하며 된장·고추장·간장과 김치를 버무려 비빔밥을 이웃들과 나누는 따뜻하고 정다운 모습이 눈에 선하다.
눈을 밖으로 돌리면 반출 경위가 불분명한 문화재가 29개국 박물관·미술관 801곳에 24만 7718점에 이른다. 일본에 10만8000여 점, 미국에 6만5000여 점, 독일 1만5000여 점, 중국 1만4000여 점, 영국에 1만2000여 점 등이 있다. 방치되거나 훼손 정도가 심해 복원이 시급하다.
2014년 부터 해외문화재단이 국외 미술관·박물관 26곳에 소장된 우리 유물 122점을 살려냈다. 그 중 본드로 붙여 놓은 청자를 복원하고, 일본 유물로 오해한 그림을 우리 전통 기법으로 모습을 되찾은 사연에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 미술관에 소장된 ‘해학반도 병풍’은 복원 후 자체선정 ‘10대 소장품’이 되어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 하와이 호놀룰루 미술관에서 발견한 ‘계회도’는 1586년 작으로 미술관 소장품을 뜻하는 등재번호조차 없었단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돼 현전하는 수량이 적은 작품으로 발견 자체가 큰 사건이라니 할 일이 명백해졌다.
그런 비전으로 나라 안으로 눈을 돌려보자. 무엇 때문에 이 좋은 나라에서 헐뜯고 미워하며 죽기로 싸우는지 궁금하다. 같은 자리에 앉아 등을 돌리고 얼굴도 안 보고 악수도 안 하는지 물어보고 싶다. 그러고도 다음 세대에게 할 말이 있는지 세금이 아깝고 시청료 내고 보기 딱하다.
좀 먹고 곰팡이 슬어 구멍이 숭숭 뚫린 문화재도 복원하는 세계 최고의 기술로 국민성을 수술하자. 다시는 이 나라의 문화재들이 약탈과 강탈로 빼앗기는 수모를 겪지 않을 비책을 마련하자. 특단의 대책은 시민 각자의 깨어있는 책임의식이다.
누구 편이 아니라 국가와 국민 편이라는 현명한 선택만이 유일한 ‘치료제’이다. 공장을 지으러 간 우리 기술자들이 쇠사슬로 묶여 체포되는 상황이 되풀이되지 않을 관계복원의 지혜로 교포들과 국민들에게 문화민족의 자긍심을 회복하기 위해 대동단결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