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용호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위원장·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겸임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큰 기회
빅 데이터를 근간으로 AI(인공지능)이 만들어 가는 세상
4차 산업혁명에서는 우리가 “하는 일”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체”를 바꿔야 한다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돼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지능정보기술이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3D 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되어 실세계 모든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한다.
제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hyperconnecti vity)과 초지능(superintelli gence)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scope)에 더 빠른 속도(velocit y)로 크게 영향(impact)을 끼친다.
‘제4차 산업혁명’ 용어는 2016년 세계 경제 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언급됐으며,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의 새로운 산업 시대를 대표하는 용어가 됐다. 컴퓨터,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제3차 산업혁명(정보 혁명)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혁명으로도 일컬어진다.
본 기고는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위원장·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겸임을 하고 있는 파주출신 박용호<사진> 위원장이 일반 시민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쉽게 작성했으며 AI(인공지능)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만을 쉽게 소개한다. <편집자 주>
작년부터 많은 사람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들 한다. 아마도 근간은 2016년 1월에 스위스 다보스에서의 세계경제포럼(일명 다보스포럼)에서 화두를 던진 클라우스 슈밥(Klauss Schuwab) 회장의 언급일 것이다.
그는 ‘이제 4차 산업혁명의 막이 올랐다. 4차 산업혁명은 물리학, 생물학, 디지털 분야의 기술이 융합하면서 정치·경제·사회 시스템에 전적으로 새로운 능력을 부여하고 극적인 충격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4차 산업혁명에서는 우리가 “하는 일”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우리가 “하는 일”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체”를 바꿔야 한다. 그러면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먼저 1차, 2차, 3차 산업혁명을 먼저 간단히 정리해 보기로 한다.
제1차 산업혁명은 17세기에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기관에 의한 기계화 혁명이다. 방직기술이 수공업에 머물러 있던 시기에 기계에 의해 산업이 거대해 지기 시작한 것이다.
제2차 산업혁명은 공장에 증기 에너지가 아닌 전기 에너지에 의해 콘베이어 밸트를 사용하며 대량 생산을 하게 된 것이다. 산업의 주도국은 영국에서 미국, 독일, 일본등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차 산업혁명은 일명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 개발에 의한 지식 정보혁명이다. 이 또한 미국이 주도하게 된다.
제4차 산업혁명은 미국이나 독일 등이 주도하며 ICT기술과 제조업이 융합되며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 데이터, 로봇, AR, VR, 드론, IoT(사물인터넷)등이 초 지능적으로 연결되어 협업하며 산업구조 전반에 높은 생산성과 효율, 혁신을 가져오는 혁명이다. 즉 AI(인공지능)+ICBM(IoT, Cloud, Big data, Mobile)등이 어우러져 새로운 사업모델들이 나타나고 있다. 초 융합(콘버전스)의 혁명인 것이다.
1차 산업 혁명이 기계의 출현, 2차는 대량생산, 3차는 기억의 대체였다면 4차는 인간의 대체가 될지도 모른다고 성급히 생각해 본다.
빅 데이터를 근간으로 AI(인공지능)이 만들어 가는 세상
지난 5월 17일 구글에서는 7000여명이 모이는 개발자들과의 회의에서 여러가지 AI 기능이 내포된 솔루션들을 발표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레스토랑을 비추면 그 레스토랑의 평가나 음식, 가격 정보들을 알려주고 결제도 도와준다. 음식의 평가등도 고객들의 빅 데이터를 근간으로 이뤄진다.
아마도 지나가는 사람 얼굴을 비춰보면 그 사람의 이력이 다 나오는 세상이 올 것도 같다. 이러한 이력이 나오는 것은 그 사람의 빅 데이터를 근간으로 인공지능이 분석해 보여 주는 것이 될 것이다.
구글 발표에서는 이런 사례도 있다. 카메라로 찍은 사진이 좌측과 같을 때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우측과 같은 사진으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이 어렵사리 포토샵을 해야만 하던 것을 인공지능이 척척 알아서 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은 챗봇(콜 센터의 상담원 역할을 기계가 해 줌)도 하게 된다. 고객들의 일반적인 채팅 상담을 기계가 인지해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파악해 자동으로 답변해 주는 것이다. 즉 인간의 고된 노동이 들어가는 반복적이고 지루한 일은 인공지능이 곧 대체하게 될 것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인공지능은 이미 하기 사진처럼 결핵의 병변의 위치를 찾아내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좌측은 의사가 찾은 결핵의 병변 위치이고 우측은 같은 영상을 인공지능이 찾은 영상이다.
우리나라에도 이미 IBM의 왓슨이라는 인공지능 보조의사(이 기계가 보조의사란 단어를 거절하는 사태가 곧 올 것이다. 자기가 주 의사이며 인간 의사가 보조라고 주장하며.)가 등장해 의사들의 암 진단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한다. 한국의 길병원에 이미 도입돼 있다.
인공지능은 우리의 생활을 크게 변화 시킬 것이다. 많은 자율 주행 자동차들이 운전사의 노력 없이 자율로 운행되는 실질 실험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자율 주행 자동차는 안전운전을 위해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집해 분석하고 처리하는 일을 수행해야 하는데 그 속도도 매우 빨라야 한다. 차량이 달리는 속도가 있을테니. 그래서 많은 자동차 업계들이 인공지능 기능과 영상 신호 처리가 빠른 미국 반도체 회사 엔비디아의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이 들어간 GPU 보드를 사용하고 있다.
점자 스마트 워치-시각 장애우들도 문자를 읽을 수 있다.
닷 대표 김주윤<사진>은 점자 기능이 있는 스마트 워치이다. 시각 장애우의 일반 스마트폰으로 문자가 오면 그 문자는 점자 스마트 워치로 전달되어 워치의 점자가 자동으로 움직여서 시각 장애우가 손으로 터치해 문자를 읽을 수 있게 된다. 이 기술은 아마존 킨들 같은 장치처럼 소규모 패드(SD 카드를 삽입)등에도 적용돼 시각 장애우들이 큰 책도 작은 점자 패드로 읽게 된다.
필자는 올해 3월30일에 김주윤 대표를 대동하고 일본 동경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창업 경진대회에 출전해 최고의 대상(상금 1억 원)을 거머쥐는 성과를 올리며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 현황을 마음껏 자랑하며, 대한 청년의 기개와 기술을 뽐내고 돌아오는 기회도 있었다.
위 기업의 김주윤 대표는 1990년생으로 현재 28세이며 필자를 2년전에 만나 각종 멘토링으로 2년만에 70억 원 투자 유치, 370억 원 물량 수주를 받은 상태이며 구글이나 사우디 아라비아 등 외국에 적극적으로 영업을 같이 하고 있다.
블루투스 이어셋을 대신하는 음파 진동 기술 활용한 워치 밴드
누구나 어렸을 때 컵 밑바닥에 실을 꿰어서 전화기 놀이를 한 두번은 해 보았을 것이다. 최현철 대표는 이 기술을 워치 밴드에 적용했다. 동작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스마트폰에 전화가 오면 블루투스 이어셋으로 전화를 받듯이 본 밴드로 전화를 받으면 된다.
내장 마이크도 있다. 일반 블루투스 이어셋과 다르다면 스피커 대신에 진동자가 내장되어 그 진동이 손가락의 내외부를 통해 손 끝으로 전달이 된다. 이를 귀에 갖다 대면 소리로 들리게 된다. 물론 손을 떼면 소리는 안 들린다. 매우 획기적인 아이디어이다.
제품 가격이 약 15만 원인데 제품이 나오기도 수 개월 전에 이 제품을 사고 싶다고 전 세계 고객들이 미리 돈을 지불했는데 그렇게 모인 돈이 2백만불(한화 21억 원)이며 현재도 매달 6000만 원씩 올라가고 있다. 아직도 생산 준비 중인데 말이죠.
공병을 활용한 블루투스 스피커(파주가 고향인 이연택 대표의 제품)
필자가 육성하는 창의적인 기업들은 100개가 넘는데, 본 제품의 이연택 대표<사진>는 우연히도 동향(파주)출신의 청년이다.
이 제품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스피커 음향이 나오는 부분에 병에 꽂을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간 제품이다.일반적인 작은 스피커로 음악을 오래 듣게 되면 머리가 아픈데 큰 스피커로 들으면 머리가 아프지 않다. 왜 그럴까 고민하던 이연택 대표는 그 원리를 이해하게 됐다.
작은 스피커는 가청 주파수의 고주파 대역을 많이 재생하고 큰 스피커는 중저주파 대역을 많이 재생한다. 고주파 대역을 오래 들으면 귀도 상하게 되고 머리도 아프게 된다. 이 원리가 사실 공학도에게는 매우 쉬운 이슈였지만 디자이너 출신이 이 대표에게는 큰 도전이었다.
큰 스피커를 들고 다닐 수 없으니 작은 스피커를 빈 병들에 꽂으면 빈 병의 공명을 활용하여 음악을 오래 듣더라도 큰 스피커처럼 듣게 되니 머리가 아프지 않게 된다. 어찌보면 콜럼부스의 달걀인 격이다.
이 아이디어로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하고 현재는 국내외에 영업 마케팅으로 뛰고 있으며 필자는 작업 공간과 멘토링으로 이 스타트업을 나의 일보다 더욱 열심히 무상으로 돕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4차 산업혁명이 멀리 있거나 그리 무서운 것이 아니다.우리가 조금만 준비하면 그 혁명은 우리에 더 많은 기회를 줄 것이다.그런측면에서 파주 시민, 파주 기업인, 파주 공무원등이 준비할 내용을 적어본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시민 사회 필요(시민)
먼저 시민들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창의는 도전과 실패, 융합에서 나온다. 도전하는 문화, 실패를 인정해 주는 사회, 많은 다양성이 공존하는 사회가 되어야 혁신적이고 파괴적인 아이디어가 나오는 사회가 된다.
창의적인 학교 수업,사회 전반에 퍼지는 메이커 문화,도전과 성공, 실패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시민의식이 더욱 필요하다. 생활속에서의 문제점을 찾아서 같이 혁신적으로 해결하며 이를 사업으로 연계하는 기업가 정신도 필요하다.
공부하며 기업의 효율성에 적용하는 실험정신 필요(기업인)
이미 많은 파주 기업인들의 조찬모임이 이루어 지고 있을텐데 이 곳에서도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가들을 자주 초청해 공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선제적으로 본인의 기업에 생산 효율성을 위해 빅 데이터를 모으며 인공지능을 도입한다던지, AR VR등을 영업 마케팅에 사용 한다던지, 로봇을 생산 현장에 도입하거나 관련 공부 모임이나 동호회 등을 사내에서 운영하는 것도 좋겠다.
다른 선진 기업들의 혁신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가치는 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크기가 결정할 테니 관련 TFT등도 운영하고 실적이 좋은 스텝에게는 인센티브도 좋겠다.
규제를 풀고 다양한 실험을 즐기며 창의 문화가 활발한 시민 문화를 만들어 가야(공무원)
공무원들은 규제에 얽매이지 말고 다양한 실험이 가능하도록 일부 공간의 규제프리존을 운영함도 좋겠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다양한 메이커 문화 행사, 세미나, 포럼 등을 개최해 파주시가 활발히 움직여야 한다.
선진 도시들과의 자매결연도 좋다. 국내외에서 열리는 해당 전시회에 자주 참석하고 파주시민들의 제품이 그 곳에 출품이 되도록 관련 해커톤, 경진대회등도 시민, 기업, 학교등과 연계해 개최함도 좋겠다.
이 것이 사업으로 연계되고 관내 기업들과의 협업, 관내 기업에의 취업, 해외 진출 등 다양한 후속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건강한 파주, 지속 성장 가능한 파주, 누구나 행복한 파주는 우리 모두의 힘으로 충분히 만들어 낼 수 있다.